강역고/부여

북부여 불이성(不而城)을 찾아서(1)

지보고 2023. 10. 10. 14:03

北夫余不而城檀林山下, 蒼松茂宻丹闕聳出, 此乃天帝之殿也.

.........

북부여(北夫余) 불이성(不而城) 단림산(檀林山)아래

푸른 솔 우거진 곳에 단궐(丹闕)이 우뚝 솟았더니 이곳이 바로 천제(天帝) 궁전이라.

........

<慕漱帝紀>

 

 

모수제기에서 말하는 북부여의 도읍 불이성(不而城)은 어디인가?

 

우선 BC 300년경 燕의 <진개> 東征 前의 燕의 강역을 살펴보자

 

그림 1-1 <담기양>이 그린 전국시대 燕의 강역

 

1. 연(燕)나라 강역의 변천

 

그림 1-2 燕나라 강역의 변천

연 ① : BC 1122 ~ BC 665 (낙양 지역

연 ② : BC 665 ~ BC 530 (하북성 하간시, 임구시 일대)

연 ③ : BC 530 ~ BC 506 (하북성 보정시 당현 일대 망명)

연 ④ : BC 506 ~ BC 300 (산서성 대동시 영구현 일대)

⑤ : BC 300 ~ BC 222 (진개 동정 후 보정시 일대로 최대의 강역)

⑥ : 한나라 시대 (하북성 보정시 당현 일대)

 

1) 낙양지역 <  ① >

 

주 무왕(周 武王) 희발(姬發)이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그의 동생 소공(召公) <석奭>을

연(燕)의 제후에 봉하여 소공 석이 연(燕)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史記(사기) 세가(世家)] 34.燕召公世家

 

召公(소공) : 성(姓)은 희(姬), 이름은 석(奭)이다.

주(周)나라의 정치가로서 전국칠웅(戰國七雄)의 하나인 연(燕)의 시조(始祖)이기도 하다.

주공(周公)과 함께 주(周)의 건국과 안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성왕(成王) 재위 때 소공은 3공의 한 사람이 되었다.

섬(陝) 땅 서쪽 지역은 소공이 다스리고, 섬 땅 동쪽 지역은 주공(周公)이 다스렸다.

성왕이 아직 어려 주공 단(旦)이 섭정하여 국정을 주관하며 천자 자리에 오르자

소공은 주공을 의심하였으며, 이에 주공이 <군석(君奭)>을 지었다.

소공 석은 주공을 언짢게 여겼다.

[史記(사기) 세가(世家)] 34.燕召公世家(<소공 석(召公 奭)>

 

장공 17년(기원전 674년), 鄭나라가 燕나라의 중보(仲父)를 잡고 혜왕을 周나라로 돌려보냈다.

十七年(십칠년)鄭執燕仲父而內惠王于周

[史記(사기) 세가(世家)] 34.燕召公世家(연소공세가:연세가)

 

소공 <>에 봉한 곳은 낙양 동남쪽 탑하시 일대이다.

BC674년까지도 낙양 일대에 있었다.

 

2) 하북성 하간시, 임구시 일대 < 연 ② >

 

춘추좌전.3.30.3. (B.C.664년)

겨울, (연) 장공莊公이 노나라 쪽의 제수濟水에서 제 환공과 예를 생략하고 만나

산융山戎에 대해 논의했다. 산융이 연나라를 괴롭혔기 때문이다.

 

제 환공이 B.C. 664년에 산융과 고죽을 정벌하였다고 한다.<관자>

 

BC665년경 연나라가 지금의 하북성 하간시 일대로 천도해 오자

하북성에 있던 산융과 고죽국이 힘을 합쳐 연을 공격한다.

 

.....

북쪽으로 고죽(孤竹)을 치고 다시 돌아와 연공(燕公)을 위로하였으니,

乘車에 타서 세 차례 회동하였고 兵車에 타서 여섯 차례 회동하였으며

제후를 아홉 차례 소집하여 본래의 위치로 되돌리니 이미 패업을 이루었다고

.... <춘추좌전>

 

제 환공은 BC664년에 고죽국을 멸망시킨다.

 

소공 7년 (BC535) 봄 왕력 정월,

연나라가 제나라와 강화를 맺었는데 제나라가 요구한 것이다.

계사일(18일), 제 경공이 괵(虢)에 주둔했다.

연나라가 화친을 요청하며 말했다.

“폐읍은 죄를 알고 있으니 감히 명을 받들지 않겠습니까?  선군의 예기를 예물로 바치며 사죄를 청합니다.”

<공손석公孫皙>이 말했다.

“항복을 받고 퇴각한 후 틈을 기다려 움직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2월 무오일(14일), 유수(濡水) 가에서 결맹했다.

연나라는 연희를 경공에게 시집보내고, 옥으로 만든 옹기, 옥궤, 옥잔 등을 뇌물로 바쳤다.

제나라는 싸워 이기지 않고 군사를 돌렸다.

<춘추좌전>

 

두예: “괵(虢)은 연나라 경내이다.” 현 하북성 임구현(任丘縣)의 서북쪽이다.

535년까지는 하북성 임구현 일대에 燕나라가 있었다.

 

3) 하북성 보정시 唐현 일대 망명 <  ③ >

 

소공 12년(530) 봄, 제나라의 <고언高偃>이 북연의 군주 <관款>을 당(唐)으로 들였는데 그곳 사람들이 원했기 때문이다.

十二年春齊高偃納北燕伯款于唐因其衆也.

<춘추좌전>

 

BC544의 혜공이 즉위하자 정치적 혼란에 휩싸인다.

BC530悼公 <>이 패전하여 보정시 현으로 망명한다.

 

4)   산서성 대동시 영구현 일대 <  ④ >

 

기원전 774년 부터 선우족이 하북에 들어왔고, 기원전 506년에는 보정 당현에 건국하였다.

기원전 295년 조나라에 멸망될 때까지 지금의 보정 대부분이 끊어졌다 이어졌다하면서

479년 동안 선우인들이 관할하였다.

从公元前774年鲜虞族来河北到公元前506年在保定唐县建国

直到于公元前295年被赵国所灭今保定大部被鲜虞人断断续续管辖达479

 

BC 506년 북적(北狄)이 남하하여 보정시 당현에 중산국(中山國)을 세운다.

燕나라는 지금의 산서성 대동시 영구현 인근으로 옮겨 간다.

 

BC 334년 <소진>의 합종책

연나라의 동쪽에는 조선(朝鮮), 요동(遼東)이 있고, 북쪽에는 임호(林胡), 누번(樓煩)이 있습니다.

또한 서쪽에는 운중(雲中)과 구원(九原)이 있으며 남쪽에는 호타(嘑沱)와 역수(易水)가 있습니다.

사방 2천여리에 달하는 땅에 무장한 군사들은 수십 만에 달하고 6백 승의 병거에 6천기의 기병과

수년 치의 식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남쪽에는 갈석(碣石)과 안문(應門)의 비옥한 평야가 있고 북쪽에는 대추와 밤의 특산물로 나오는 이익으로

백성들은 농사를 짓지 않아도 풍족하게 살 수 있습니다. 이에 사람들은 천혜의 부고(府庫)라고 부릅니다.

燕東有朝鮮  遼東 北有林胡 樓煩 西有雲中九原 南有沱 易水 , 

地方二千餘里 帶甲數十萬 車六百乘 騎六千匹 粟支數年。 

南有碣 石 鴈門之饒 北有棗栗之利 民雖不佃作而足於棗栗矣 此所謂天府者也 。

<사기 소진열전>

 

<소진>이 연나라를 설명하면서 지방2천여리(地方 二千餘里)라 하였다.

地方 二千餘里란 연나라의 땅은 方2천여리, 즉 폭원(幅員) 2천여리라는 말이다.

燕의 국경선의 총 길이가 2천여리로 우리나라의 경상남북도의 면적 쯤 된다는 것이다.

(위 지도 1-2의 래원에서 영구까지가 약 50km이다)

 

선우중산국이 보정의 강역에 있었다.

참고로 청대의 <왕선겸>의 관점이다.

초기 강역은 보정시의 경수구 , 연지구, 서수구, 만성구, 청원구, 순평현, 래원현, 당현, 곡양현, 부평현, 망도현,

정주시, 안국시, 박야현, 여현, 고양현, 안신현 등 17개시현구 이다.

鲜虞中山国在保定的疆域参考清代王先谦的观点初期应含今保定市的竞秀区莲池区

徐水区满城区清苑区顺平县涞源县唐县曲阳县阜平县望都县定州市

安国市博野县蠡县高阳县安新县17个市县区(BC314)

 

청나라의 <왕선겸>은 BC314년에 중산국이 보정의 강역에 있었다고 하지만

필자는 <자지>의 전횡으로 연나라에 반란이 일어나자 번조선이 보정 전역을 차지하였다고 본다.

이 당시 중산국도 쇠퇴의 길을 걷고 있어 보정을 차지할 정도의 국력이 아니었다. 

 

<진개> 東征 前의 燕의 강역은 <소진>이 말한 산서성 대동시 영구현(靈丘縣)을 중심으로한 사방 2천여리였다.

그런데 <담기양>은 어떤 사료를 근거로 하였는지 북경을 중심으로 그 동쪽을 燕의 강역이라고 주장한다.

<소진>은 연의 북쪽에 임호와 누번이 있다고 하는데 <담기양>이 그린 지도는

임호와 누번이 燕나라의 서쪽에 있고, 오히려 趙나라의 북쪽에 그려져 있다

 

5) <진개> 동정 후 최대의 강역 < 연 ⑤ >

 

BC 300년경 연의 중흥군주 소왕이 <진개>로 하여금 동호를 물리치게 하고 5군을 설치한다.

BC 290년경 연 소왕은 수도를 산서성 영구(靈丘)에서 하북성 역현의 연하도(燕下都)로 옮겨간다.

중산국은 조 무령왕이 허수아비  상왕(尚王)을 세운 후 BC296중산국을 멸하고 중산군을 설치한다.

그리고 BC 290년경 조 무령왕은 임호와 누번을 멸하여 안중, 운문, 代 3郡을 설치한다.

燕나라 900년의 역사중 최대의 강역을 차지한 것은 연의 중흥군주 소양왕(재위 BC311-BC279)때이다.

그 기간은 BC 300년경 <진개>의 東征 후부터 BC 240년까지 길어도 60년 미만이다.

소양왕 사후 BC 240년경 제나라와 북부여는 연나라에게 빼아긴 땅을 되찾게 된다.

연나라는 북경유역을 차지한 적이 결코 없었다.

漢族이 북경 유역을 차지한 것은 明나라 <주원장> 때 비로서 북경까지 진출하여

산해관까지 북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명장성을 쌓은 것이다.

漢族은 단언하건데 난하를 넘어 동북 3省을 지배하여 다스린적이 결코 없었다.

 

6) 燕國 설치(漢) < 연 ⑥ >

 

연 멸망 후 한나라가 군국(郡國)인 燕國을 당현에 설치한다.

 

 

2. <진개> 東征의 미스테리

 

연(燕)이 동호(東胡)를 습격하여 바깥으로 천리를 물러가게 했으며 요동(遙東)을 지나 동쪽으로 조선을 공격했다

...燕襲走東胡 辟地千里 度遼東而攻朝鮮

<염철론(鹽鐵論) 8, 벌공(伐公)>

 

염철론은 전한 소제昭帝 6(BC 81)에 소금과 철을 국가가 전매할 것인지 폐지할 것인지를 두고 벌어진

저명한 논쟁을 환관桓官이라는 사람이 정리하여 완성한 문헌으로  BC52년에 <환관>이 편찬한 것이다.

 

그 후 연나라에 현명한 장수 진개가 있어 胡에 볼모로 갔는데 胡가 매우 신임했다.

돌아와 동호를 습격해 격파하니 동호가 천여 리를 물러났다.

형가와 함께 진왕(秦王)을 암살하려 했던 진무양이 진개의 손자이다.

연나라 또한 장성을 쌓았는데 조양(造陽)에서 양평(襄平)까지다.

상곡(上谷)ㆍ어양(漁陽)ㆍ우북평(右北平)ㆍ요서ㆍ요동군을 설치하여 호를 막았다.

其後燕有賢將秦開爲質於胡胡甚信之歸而襲破走東胡東胡卻千餘里

與荊軻刺秦王秦舞陽者開之孫也燕亦築長城自造陽至襄平

置上谷漁陽右北平遼西遼東郡以拒胡.)”

사기흉노열전

 

위략에 이르기를 옛 기자의 후예인 조선후는 周나라가 쇠약해지자,

燕나라가 스스로 높여 왕이라 칭하고 동쪽으로 침략하려는 것을 보고,

조선후도 역시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 군사를 일으켜 燕나라를 역격하여 주 왕실을 받들려 하였는데,

그의 대부 <예禮>가 간하므로 중지하였다.

그리하여 <예禮>를 서쪽에 파견하여 연나라를 설득하게 하니, 연나라도 전쟁을 멈추고 [조선]을 침공하지 않았다.

그 뒤에 자손이 점점 교만하고 포악해지자,

연은 장군 진개(秦開)를 파견하여 [조선의] 서쪽 지방을 침공하고

2천여 리의 땅을 빼앗아 만번한(滿番汗)에 이르는 지역을 경계로 삼았다. 마침내 조선의 세력은 약화되었다.

魏略曰 昔箕子之後朝鮮侯, 見周衰, 燕自尊爲王, 欲東略地, 朝鮮侯亦自稱爲王,

欲興兵逆擊燕以尊周室. 其大夫禮諫之, 乃止. 使禮西說燕, 燕止之. 後子孫稍驕虐,

燕乃遣將秦開攻其西方, 取地二千餘里, 至滿番汗爲界, 朝鮮遂弱.)

삼국지위지 동이전

 

<진개>의 東征에 대한 기록은 위의 몇 구절이 전부이다.

 

그러나 그 몇 구절이 우리 상고사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그 해석 여하에 따라서는 고조선의 강역이 한반도로 축소되기도 하고 중국 하북성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단 몇 구절에 의하여 고조선의 강역이 수 천리씩 널뛰기를 하는 것이다.

 

이토록 중대한 역사적 사건을 사마천은 사기를 저술하면서 연소공세가에는 단 한줄의 기사도 남기지 않고

<진개>에 대한 열전도 남기지 않은 채 흉노열전에 몇 구절만을 남기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는 또 느닷없이 2천여리의 땅을 빼앗았다고 하고

그 후 자치통감등 다른 정사에는 왜 기록이 보이지 않는지 정말 미스테리가 아닐 수 없다.

 

 

 

 

 

3. <진개> 東征 後 설치한 燕5郡

 

燕의 중흥군주 소양왕은 BC 300년경 <진개>로 하여금 東胡(중산국과 고조선)를 물리치게 하여 연5郡을 설치한다.

 

그림 1-3 <담기양>이 그린 燕5郡

 

그림 1-4 실제의 燕5郡

 

4. 진시황이 설치한 36郡 

 

진시황은 중원을 통일한 후 군현제를 실시하여 전국에 36郡을 설치한다.

 

그림 1-5&nbsp; 진시황이 설치한 秦나라의 郡(중국측 주장)

BC 210년은 진시황이 사망한 해이다.

위의 지도는 진시황 때의 진나라 36郡을 표시한 것인데 44郡이 그려져 있다.

1-6 秦 36郡

 

- () 36() 설치 연혁

 

1. 상군(上郡) : BC328년 위() 惠王이 상군(上郡) 15()을 진나라에 바침

                        진나라가 처음으로 설치한 군으로 치소는 부시(膚施)이다.

                       부시(膚施)는 현재의 섬서성 유림(榆林) 남쪽이다.

 

2. 촉군(蜀郡) : BC314년 진() 혜문왕이 <사마착>을 보내 병합함

                       치소는 현재의 사천성 성도(成都)이다.

 

3. 파군(巴郡) : BC314년 진() 혜문왕이 <사마착>을 보내 병합함

                       치소는 강주(江州)이다.

                       강주(江州)는 현재의 사천성 중경(重慶)이다.

 

4. 한중군(漢中郡) : BC312년 초나라를 공격해 병합함

                               치소는 남정(南鄭)이다.

                               남정(南鄭)은 현재의 섬서성 한중(漢中)이다.

 

5. 농서군(隴西郡) : 진 소양왕 28(BC279)에 설치함.

                               치소는 적도(狄道)이다

                               적도(狄道)는 현재의 감숙성 란주(蘭州)이다.

 

6. 남군(南郡) : BC278<백기>가 초나라의 서울 영()을 점령하고 설치함.

                       치소는 강릉(江陵)이다.

                       강릉(江陵)은 현재의 호북성 형주(荊州)이다.

 

7. 남양군(南陽郡) : BC291<백기>가 한나라를 공격하여 완()을 점령하고 BC272년에 남양군을 설치함.

                               치소는 완()이다.

                               완()은 현재의 하남성 남양(南陽)이다.

 

8. 북지군(北地郡) : BC271년에 선 태후가 의거의 왕을 감천궁으로 유인하여 죽이고 의거를 병합 함.

                              치소는 의거(義渠)이다.

                              의거(義渠)는 현재의 감숙성 천수(天水)이다.

 

9. 상당군(上黨郡) : BC262년 한()나라가 조()나라에게 뺏김.

                               BC260년 장평전투에서 조나라가 진나라에 뺏김.

                              치소는 장자(長子)이다.

                              장자(長子)는 현재의 산서성 장치(長治)이다.

 

10. 삼천군(三川郡) : BC250년 동주(東周)를 멸망시키고 설치

                                 치소는 현재의 하남성 낙양(洛陽)이다.

 

11. 태원군(太原郡) : BC247<몽오>가 조()나라를 쳐서 병합함.

                                치소는 진양(晉陽)이다.

                                진양(晉陽)은 현재의 산서성 태원(太原)이다.

 

12. 동군(東郡) : BC244<몽오>가 위()나라를 공격하여 설치함.

                          치소는 현재의 하남성 복양(濮陽)이다.

 

13. 영천군(潁川郡) : BC230년 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

                                치소는 양책(陽翟)이다.

                                양책(陽翟)은 현재의 하남성 허창(許昌)이다.

 

14. 한단군(邯鄲郡) : BC228년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현재의 하북성 한단(邯鄲)이다.

 

15. 거록군(鉅鹿郡) : BC228년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거록(鉅鹿)이다.

                                 거록(鉅鹿)은 현재의 하북성 형태(邢台)이다.

 

16. 항산군(恒山郡) : 상산군(常山郡)이라고도 한다.

                                 조나라가 BC296년 중산국을 멸망시키고 병합함

                                 BC228년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동원(東垣)이다.

                                 동원(東垣)은 현재의 하북성 석가장(石家庄)이다.

 

17. 안문군(雁門郡) : BC228년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선무(善無)이다.

                                 선무(善無)는 현재의 산서성 산음(山阴)이다.

 

18. 설군(薛郡) : BC224년 옛 노나라 땅에 설치함

                         치소는 노현(魯縣)이다.

                         노현(魯縣)은 현재의 산동성 곡부(曲阜)이다.

 

19. 형산군(衡山郡) :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주현(邾縣)이다.

                                주현(邾縣)은 현재의 호북성 황강(黃岡)이다.

 

20. 구강군(九江郡) :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곡양(曲陽)이다.

                                곡양(曲陽)은 현재의 강소성 목양(沐陽)이다.

 

21. 탕군(碭郡) :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수양(睢陽)이다.

                         수양(睢陽)은 현재의 하남성 상구(商丘)이다.

 

22. 진군(陳郡) : 회양군(淮陽郡)이라고도 함.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진현(陣縣)이다.

                         진현(陣縣)은 현재의 하남성 주구(周口)이다.

 

23. 사수군(泗水郡) : 패군(沛郡), 사천군(泗川郡)이라고도 함.

                                 옛 송()나라 땅으로 제나라가 송나라를 멸하고 취했으나 초나라에 넘어 갔다가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상현(相縣)이다.

                                상현(相縣)은 현재의 안휘성 회북(淮北)이다.

 

24. 회계군(會稽郡) : 춘추전국시대 오()나라와 월()나라의 땅이었다.

                                 오나라는 월나라에 병합되고 월나라는 초나라에 병합되었다가

                                 BC224년에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오현(吳縣)이다.

                                 오현(吳縣)은 현재의 강소성 소주(蘇州)이다.

 

25. 장사군(長沙郡) : BC224년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임상(臨湘)이다.

                                 임상(臨湘)은 현재의 호남성 장사(長沙)이다.

 

26. 상곡군(上曲郡) : BC223년 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저양(沮陽)이다.

                                저양(沮陽)은 현재의 하북성 부평(阜平)이다.

 

27, 광양군(廣陽郡) : BC223년 연()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계현(薊縣)이다.

                               계현(薊縣)은 현재의 하북성 보저이 당현이다.

 

28. 제북군(濟北郡) : BC222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박양(博陽)이다.

                                박양(博陽)은 현재의 산동성 태안(泰安)이다.

 

29. 임치군(臨淄郡) : BC222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임치(臨淄)이다.

                                 임치(臨淄)는 현재의 산동성 치박(淄博)이다

 

30. 낭야군(琅耶郡) : BC222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낭야(琅耶)이다.

                                낭야(琅耶)는 현재의 산동성 교남(膠南)이다.

 

31. 담군(郯郡), 동해군(東海郡) : BC222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담현(郯縣)이다.

                         담현(郯縣)은 현재의 산동성 임기(臨沂)이다.

 

32. 성양군(城陽郡), 교동군(㬵東郡) : BC222년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함.

                                치소는 현재의 산동성 연태시(烟台市)이다.

 

33. 하동군(河東郡) : BC221년에 진()의 영토에 설치함.

                                 치소는 안읍(安邑)이다.

                                 안읍(安邑)은 현재의 산서성 운성(運城)이다.

 

34. 대군(代郡) : ()나라를 정복한 조()나라에서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BC221년에 대()로 도주한 조()<>를 죽이고 설치함

                         치소는 대현(代縣)이다.

                         대현(代縣)은 현재의 하북성 래원현이다.

 

35. 구원군(九原郡) : BC220<몽염>이 흉노를 북방으로 몰아내고 설치함.

                                치소는 구원(九原)이다.

                                구원(九原)은 현재의 내몽고자치구 포두(包頭)이다.

 

36. 운중군(雲中郡) : BC220<몽염>이 흉노를 북방으로 몰아내고 설치함.

                                 치소는 운중(雲中)이다.

                                운중(雲中)은 현재의 내몽고자치구 호화호특이다.

 

중앙의 하내군과  남방의 계림군, 남해군, 민중군은  漢나라때 설치한 郡이고

동북방의 요동군, 요서군, 우북평군, 어양군은 북부여의 강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