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百濟'라 쓰고 훈역하여 '쿠다라'라 읽는다.
왜(倭)의 최초 역사기록은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 나온다.
야마다이국 (邪馬台國)의 여왕 히미꼬(卑彌呼)가 서기 238년 사신을 보내
위(魏) 명제(明帝) <조예曹叡 재위 205 – 239>를 배알하였다는 내용이다.
일본측의 고사기나 일본서기에는 히미꼬(卑彌呼)의 기록이 없다.
일본서기는 왜 여왕이 239년에 위나라에 사신을 보냈고 그들이 240년 돌아 왔다는 기록은 남겼다.
일본서기의 저자가 중국측 기록을 알고는 있었다는 것이다.
위(魏) 나라와 시작된 이러한 야마타이국(邪馬台國)의 외교관계는 다음의 진(晉) 나라로 이어진다.
266년 사신을 보낸 것을 끝으로 이후 147년간 중국 역사에서 왜의 기록이 나타나지 않다가
413년을 시작으로 갑자기 5명의 왜왕들이 유송(劉宋)에 사자를 보내 관직을 받는다.
그러나 이 왜왕들은 일본 역사서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8세기의 역사가들이 역사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일본서기를 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를 남기고자 하였다면 중국측 기록과 일치하는 인명을 사용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고사기나 일본서기는 의도적으로 중국사서에 나오는 이름을 피했다.
도대체 147년간 일본 열도에 무슨 일이 일어나서 기록을 회피한 것일까?
그런데 고고학상 일본역사 발전단계의 한 획을 긋는 거대한 분묘가
이 무렵 나라와 오오사카 지역에서 생기기 시작하더니 차차 일본전역으로 퍼져나간다.
그 분묘의 규모가 거대해서 길이 420미터를 넘는 것도 있으며
이를 만들려면 이집트 피라밋 건립과 맞 먹는 인력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거대한 중앙집권권력의 탄생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대략 서기 250년부터 552년 불교공인이후 매장문화가 변화할 때까지의 기간을 일본에서 고분시기(古墳時期)라고 한다.
전방후원분으로 알려진 이 고분의 주인공은 누구이며 어디서, 언제, 왜, 일본으로 왔을까?
일본서기는 이 시대의 역사를 모두 신화로 만들었다.
이제 이 가공된 신화의 베일을 벗겨보자.
일본 황실은 고인의 권위와 평안을 지켜야 한다면서 천황묘의 발굴을 반대하니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1. 히미코(卑彌呼)
고사기나 일본서기에 일절 언급이 없으나 중국역사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왜왕이 히미코(卑彌呼)이다.
히미코의 사망년도는 247년으로 기록하였다.
일본서기 저자들은 실존 인물이니 만세일계의 일본천황에 끼워 넣을 수 없어 신화를 만들었다.
일본에 수 많이 등장하는 신들 가운데 슈퍼스타는 단연 아마테라스 오호미가미(天照大御神)라는 여신이다.
이 여신은 태양신이며 현 이세신궁의 주인이다.
지금도 일본의 천황가나 총리가 해마다 참배를 드리는 곳이 바로 이 이세신궁이다.
이 이세신궁의 주인인 아마테라스 오호미가미가 바로 히미코이다.
그러면 히미코(卑彌呼)는 누구인가?
삼국사기 신라본기 아달라 이사금 20년 (서기 172년)에 왜왕 히미코가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 초기 기년은 앞서 삼국사기 초기 기년 조정에서 밝힌대로 아달라 20년은 232년이다.
삼국유사 신라 8대 아달라 이사금 4년 (서기 157년)
동해 바닷가에 살던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가 일본에 가서 왕이 되었다.
그들이 사라진 뒤 신라에 해와 달의 광채가 사라졌다.
사람을 보내 세오녀가 짠 비단을 가져와서 영일현에서 제사를 지내자 광채가 옛날 처럼 돌아왔다.
아달라 이사금 4년은 216년이다.
이 세오녀(185?-247)가 히미코이며 이세신궁의 주인공인 태양의 여신인 천조대신 아마테라스 오호미가미인 것이다.
세오녀는 일본서기에 세오리츠히메(細織津姬)로 기록된다.
필자는 사학자가 아닌 아마추어이니 자유롭게 상상하여
아달라가 영일방면으로 세력을 넓혀가자 영일현의 지방호족인 연오랑과 세오녀가
30살 정도의 나이에 일본으로 건너 갔다고 추측해 본다.
그리고 216년경에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일식이나 부분일식이 일어 났을 것이라고 본다.
일본서기에 아마테라스 오호미가미(天照大御神)와 함께 등장하는 남자 신(神)이
스사노오(須佐之男命, 素戔嗚尊)라는 바다를 다스리는 신(神)이다.
스사노오는 성질이 거칠고 괘팍하여 누나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스사노오가 누나의 시녀를 죽이고 난폭한 행동을 하자 그에 대한 항의로
아마테라스는 동굴속에 들어 가 입구를 막아버리고 나가지 않았다.
태양신이 숨어버리자 세계는 암흑으로 덮히고 말았다.
곤란해진 신들이 모여 회의를 한 결과 아마테라스를 동굴속에서 끌어내기 위하여 작전을 펴기로 했다.
밖에서 춤을 추고 시끄럽게 잔치를 벌렸으므로 굴 속에 있던 아마테라스는 무슨 영문인지 궁금하여
살며시 문을 열자 눈 부신 빛 속에서 찬란한 태양을 보았다.
동굴 밖에 대기하고 있던 거울에 자기 얼굴이 비추어진 것이다.
자신의 얼굴을 본 아마테라스는 그 모습을 더 잘 보려고 몸을 밖으로 내밀었다.
그 순간 모든 신들이 힘을 합쳐 아마테라스를 밖으로 끌어 내었다.
이렇게 해서 세상은 다시 빛을 찾게 되었고 스사노오는 신의 나라, 타카마노하(高天原)에서
인간세상으로 추방되었는데 그가 내려 온 곳이 시마네(島根) 현의 이즈모(出雲)였다.
이런 연유로 이즈모 지역이 큐우슈우 지역과 함께 일본에서 가장 빠른 청동기 문명의 유입지가 된다.
이때가 서기 216년경이다.
아달라왕 4년(A.D.216)
4월 다파라(多婆那)가 영오랑(迎烏郞)을 임금(君)으로 삼았다.
<남당유고>
2. 스사노오(須佐之男)
일본 최초의 여신이 태양의 신 아마테라스라면 일본 최초의 남신은 바다와 폭풍의 신 스사노오이다.
일본을 이야기 할 때 해와 바다를 빼면 앙꼬없는 찐빵이 된다.
아마테라스나 스사노오를 모르는 일본인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스사노오는 고사기에는 須佐之男, 일본서기에는 素戔嗚尊으로 기록을 남기고 우두천왕(牛頭天王)으로 불리며
지금도 일본인의 열열한 추앙을 받는다.
우두천왕(牛頭天王)은 불교 사찰인 쿄토 기원(祇園) 거리에 있는 기원정사(祇園精舎)의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다.
스사노오를 제신(祭神)으로 모시고 있는 야사카(八坂) 신사는 쿄토(京都) 굴지의 사당이다.
쿄우토에서 가장 오래 된 신사이며 전국에 8만 여의 지역신사를 거느리고 있다.
매년 7월 열리는 기온마쯔리 (祈園祭)는 일본 최대의 축제이며 스사노오의 신주를 받드는 행사이다.
그러면 스사노오(須佐之男)는 누구인가?
백제는 스사노오를 소고(素古), 초고(肖古), 속고(速古) 등으로 기록하였다.
초고왕(肖古王)[혹은 소고(素古)라고도 한다.]은 개루왕(蓋婁王)의 아들이다.
개루왕이 재위 39년에 돌아가시자 왕위를 이었다.
肖古王[一云素古] 蓋婁王之子 蓋婁在位三十九年薨 嗣位
<삼국사기 백제본기>
구지39년 병오(A.D.226)
5월 상좌평(上佐平) <길선吉宣>이 죽었는데 나이 55세였다. 왕이 애통해하며 태공례(太公禮)로 장사를 지냈다.
<길선>의 아들 <팽선彭宣>은 전씨의 오빠다. 왕이 <백화苩花>를 <팽선>에게 시집보냈다.
<팽선>이 <백화>와 그의 오빠 <백인苩仁>이 밀통하여 신을 박대한다고 하소연하였다.
왕이 <백인>에게 밖으로 나가 북한군(北漢軍)을 살피도록 명하였다.
<백인>이 말하기를 “아바마마가 전씨(田氏)에게 미혹되어, 아들과 동생들을 가벼이 여긴다.”라고 하였다.
왕의 동생 <고시古尸>가 그 말을 듣고, 전씨에게 은밀히 고하여 말하기를
“모든 왕자들이 <백인>과 더불어 반역을 도모하고자 한다.”라고 하였다.
전씨가 말하기를 “또 장차 어찌하면 좋을까?”라고 하였다.
<고시>가 말하기를 “일이 급하게 되었다. 거짓조서로 군사를 일으켜 먼저 제압함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전씨가 이내 밀부(密符, 병란이 일어나면 즉시 군사를 동원할 수 있도록 내리던 병부)를 내어
<고시>와 더불어 행내외군사(行內外軍事)로 한다고 영(令)을 내렸다.
<고시>가 이에 왕을 핍박하여 궁궐 깊숙이 가두어 놓고,
소고(素古, 초고왕)를 새로운 왕으로 세워 이로써 천하에 호령하게 하였다.
<고시>는 왕의 서제(庶弟)이다. 그 어머니는 일찍이 왕과 잠통하여 은밀히 궁중비사(宮中秘事)를 고하였다.
자못 왕에게 공이 있었다. 왕 역시 <고시>를 사랑하여 자신의 자식처럼 여겼다.
<고시>는 나이가 젊고 아름다워 전씨와 은밀히 상통하여 아들 <소대素大>를 낳았다.
왕이 알까 항상 두려워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백인> 등이 그 일을 발설하려 하였다.
그런 연유로 <고시>가 먼저 사로잡으려 한 것이다.
<백인>이 계략이 어긋났음을 알고 말갈(末曷)로 도망쳤다.
<고시>가 이에 전씨와 정치를 오로지 하였다. 왕이 근심하고 분노하여 죽었는데 춘추 72세였다.
왕은 성군(聖君)으로써 일찍이 치평(治平)으로 이름이 있었다, 다만 여자를 좋아하여,
규문(閨門, 부녀자)의 일을 점검하지 않았으니, 끝내는 사랑하는 동생과 총애하는 처에게 제거됨을 당하니, 애석하도다.
달솔(達率) <연다燕多>와 <격섬鬲閃> 등이 <고시>를 치고자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도망하여 신라로 귀의하였다.
두 번의 거사가 모의되어 <고시>가 감히 자립(自立)하지 못하고, <소고>를 세웠는데 나이 겨우 13살이었다.
휘(諱)는 <소고素古>이며, 구지(仇知)왕의 다섯째 아들이다. 체격이 크고(鴻大), 멀리 내다보는 식견이 있었다.
어떤 일에 임하여(臨事) 가벼이 결정하지 않았으며, <고시古尸>와 전씨(田氏)가 감히 권세를 마음대로 하지 못하였다.
나라사람들이 그것을 칭송하였다.
1년 병오(A.D.226) 7월 어머니 전씨(田氏)를 높이어 태후로 하였다.
황후 전씨(田氏)는 신라인 <길선>의 딸이다.
이때 구지왕 72세, 황후 전씨 30세, 고시 37세?, 초고 13세, 팽선 37세? 백인 42세?, 백화 40세이다.
초고29년 갑술(A.D.254)
정월 왕이 태자 <구수仇首>에게 선위(禪位)하였다.
스스로 산궁(山宮)과 구원(狗原)에서 거처하며 제사를 주재하였고, 태상신왕(太上神王)이라 불렀다.
태자가 남궁(南宮)에서 즉위하여 친히 내외병사(內外兵事)를 집정하고,
사씨(沙氏), 백씨(苩氏), 진씨(眞氏), 해씨(解氏)의 작위를 정하였다.
휘(諱)는 <구수仇首>이며, 초고(肖古)왕의 장자로 신장이 7척이었다.
위의(威儀, 예법에 맞는 몸가짐)가 훌륭하고 뛰어났으며, 정치를 행함(爲政)에 어질고, 법을 집행함에 밝았다.
<남당유고 백제왕기>
이때 초고왕 41세, 구수 25세이다.
삼국사기는 초고왕이 개로왕의 아들로 166년에 즉위하여 214년까지 49년간 재위에 있었다고 하나
초고왕은 구지왕의 다섯째 아들로 13살의 나이로 226년에 즉위하여 254년에 태자 구수에게 선위하였다.
남당유고 백제왕기는 선위 후 산궁과 구원에 거쳐하며 제사를 주재하였다고 하였지만
41세의 한창 나이에 왜 태자에게 선위하고 산궁에서 제사를 주재하며 지냈을까?
필자는 41세에 열도로 건너 가 20년간 이즈모(出雲)에서 시작하여 오사카, 와카야마 그리고 이세지역에 이르기 까지
활약하여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스사노오로 기록된 바다와 폭풍의 신이 바로 백제의 초고왕이라고 본다.
스사노오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신대기(神代記)에 나오는 남성신으로 일본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일본 황실의 역사는 스사노오로부터 시작된다.
시마네(島根)현 마츠에(松江)시에 있는 야에가키(八重垣) 신사에
스사노오와 그의 아내 쿠시나다히메(櫛名田比売)의 초상화가 남아있다.
스사노오의 아들 이름이 오호쿠니누시(大國主神)인데 백제의 기록으로는 구수(仇首) 또는 귀수(貴須)로 불린다.
이즈모 타이샤 (出雲大社)가 그와 그의 아버지 스사노오를 모시는 사당이며
천조대어신(天照大御神)을 모시는 이세신궁과 더불어 일본에서 가장 오래 된 신사이다.
비파형 세형동검은 중국대륙에서는 나오지 않고 만주와 한반도에서만 발견되는 고조선 계열의 유물이다.
일본황실의 보물로 현재 나고야(名古屋)의 아쯔타 신궁(熱田神宮)에 보관되어 있는
쿠사나기노 쯔루기(天叢雲剣 또는 草薙剣) 또한 세형동검이다.
쿠사나기노 쯔루기는 스사노오가 이즈모에 들어 와 퇴치한 뱀,
야마타노 오로찌(八岐大蛇)의 꼬리에서 나왔다고 전해 온다.
스사노오는 오오사카 호츠마 국(秀眞國) 을 점령하고 천조대신의 12신녀 가운데 8명을 수습하여
시마네현 이즈모의 야에가키 궁(八重垣宮)에 데려 와 자신의 후비로 삼는다.
백제를 떠나 온 사나이의 감상이었을까?
스사노오가 지었다고 하는 야쿠모타츠(八雲立)라는 노래 한 수가 전해온다.
“겹겹이 쌓인 구름으로 정든 님을 두른다. 이즈모(出雲)에 구중심처의 울타리를…..”
'강역고 > 백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도(列島)의 쿠다라(百濟)를 찾아서(5) (1) | 2023.10.25 |
---|---|
열도(列島)의 쿠다라(百濟)를 찾아서(4) (1) | 2023.10.24 |
열도(列島)의 쿠다라(百濟)를 찾아서(3) (1) | 2023.10.24 |
열도(列島)의 쿠다라(百濟)를 찾아서(2) (1) | 2023.10.23 |
백제의 위례성을 찾아서 (1) | 2023.10.21 |